
Pierre Bourdieu (피에르 부르디외)
(아래는 2014년 3월 대학에 입학하고 첫 번째로 빌린 도서인 홍성민의 『문화와 아비투스』에서 발췌한 문헌 목록이다.)
주요저서
-
Sociologie de l’agerie, PUF, 1958 알제리연구 서론
-
Le Deracinement, minuit 원주민문화박탈
-
Les Etudiants et leurs Etudes 알제리 이후 학교 자본 불평등
-
Les Heritiers
-
Travail et Travailleurs en Agerie (1,2 중복)
-
Un Art moyen 사진찍기라는 일상활동의 계급분포 / 예술적감각과 사회학
-
Rapport pedagogique et communication 교사 학생간 언어소통 불평등
-
L’amour de l’art 전위예술, 미적가치와 정치적 영향력
-
Le Metier de sociologie 사회학의 방법론 / 뒤르케임과 비교
-
Esquisse d’une theorie de la pratique 구조주의 극복과정
-
Alegerie60 <자본주의와 아비투스>
-
La distinction <구별짓기>
-
Le sens pratique 11의 편집 : <실천의 논리> 사르트스와 레비스트로스를 다룬 강연논문
-
Questions de sociologie <혼돈을 일으키는 사회과학> : 언어사회학 이론서
-
Ce que parler vent dire <문화재생산과 상징적 폭력>
-
Le&on sur la le&on <강의에 대한 강의> : 교수취임 연설
-
Homo academicus 프랑스 대학제도와 지식시장, 지식사회학
-
Choses dites
-
L’ontologue politique de Martin Heidegger 지식장분석-수입
-
La noblesse d’etat 알튀세르의 AIE 현실서 경험 증명
-
Reponse
-
Les Regles de l’art <예술의 규칙> : 플로베르, 문학 사회학
-
La Misere du monde
-
Libre echange
-
Raison pratiques <실천적 이성> 공평한 행위는 가능 ; 도덕의 역설적 기초 : 하버마스, 후기 푸코, 부동의 정당한 것과 옳은 것, 투렌의 우리는 함께 살 수 있는가?
-
Sur la television <텔레비전에 대하여>
-
Meditation pas caliennes
주요논문
-
“Postface” in E Panozsky, Architecture gothique et pensee scolastique trd. Fr. De p Bour(n)d
-
“Systeme d’enseignement et systemes de pensee” Revue internationale des sciences sociales V19
-
“Elements d’une theorie sociologique de la perception artistique” V20
-
“Genese et structure du champ religieux” V12
-
“Reproduction culturelle et reproduction sociale” information sur les sciences sociales V10 N2
-
“Avenir de classe et causalite du probable” Revue fran&aise de sociologie V15 N1
-
“Le champ scientifique” Actes ~ N2-3
-
“Capital symbolique et classes sociales” L’are N72
Acte de la ~ iale 이라는 잡지에서 참고할 글
-
Les cadres : la formation d’un group social 1992
-
Fair l’opinion : la nouvelle espace politique 1990 / le sens cache : inegalite culturelleset segregation politique 유권자들의 정치의식의 형성과정 ! (하버마스 <공공영역의 구조변화>)
-
Sartre et les temps modernes 1985 한국에서 지식인의 위상
-
Les nuveux de zarathoustra : La reception de nietsche en france 1995
-
Sociologie des crises politiques 1992 개인과 개인의 ‘대면적 상황’이라는 미시분석을 통해 사회변혁의 문제 설명
-
La politique et l’historie 1995 근대국가, 정치폭력, 재형성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