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바운더리 연구들

 

(이하는 나는 오늘도 국경을 만들고 허문다, 강주원에서 발췌한 것이다.)

 

  • 국경의 형태를 하나의 선으로 인식하고 있는 관광객들은 다리 중간을 지나는 순간 국경을 뛰어넘으며 사진을 찍는다. 그 순간 압록강 한 복판은 하나의 선으로 그어지고 ,그곳이 바로 국경이 된다. 그러나 압록강 중앙이 국경이라는 것은 관광가이드의 이벤트 연출을 위한 왜곡된 설명이다. 국경조약의 특징을 모르는 한국 관광객의 상황이 합쳐져 나타나는 현상이다. 그 결과 관광객은 압록강의 폭 전체를 압축된 하나의 선으로 생각하는 통념을 강화한 채 한국으로 돌아간다. 하지만 중조 국경조약으로 인해 압록강은 국경이자 북중의 공유지역이 되고 있다. 북중 국경조약(62,64년)에서 내가 주목하는 내용은 압록강의 공유(공통관리/사용), 경계팻말, 섬과 沙洲 등이다. 沙洲란, 국경이 고정된 것이 아니라 끊임없이 변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압록강 본류가 흐르지 않는 국경지역이 존재함으로써 국경을 구분하기 힘든 경우가 있다. 북한의 황금평이라는 섬에는 중조국경지역을 가로지르는 실개천이 흐른다. 2006년 이전만 해도 이곳에는 국경을 표시하는 어떤 것도 목격되지 않았다.

 

  • 국경과 관련된 문제는 정치와 외교에만 국한되어 있지 않다. 여기엔 경제적 이해관계가 놓여있다. (...) 압록강 대로가 개통된 뒤, 압록강변을 따라 만들어진 연유로 북한과 중국 영토를 자연스럽게 구분짓던 도로의 위치와, 그곳에서의 사람들의 행동, 그리고 철조망과 행위 금지 안내판이 주는 의미가 2006년 이래로 중첩, making되며, 의도했든 아니든 압록강 대로는 사람들이 국경을 확인하는 공간이 되고 있다. 철조망만이 아니라 대로변 고층 아파트가 줄지어 이어져 경계의 의미를 한층 담당한다. 

 

  • 이처럼 물건을 사고팔 때도, 국민과 민족에 대한 판단 즉 내가 누구이고, 상대방이 누구인지를 확인하게 만든다. 이런 조건의 연장선상에서 특히 북한사람, 북한화교, 조선족은 그들의 국민, 민족 정체성에 대한 넘나들기를 효과적으로 활용한다. 즉 자신들의 정체성을 때로 감추고 때로 바꾸는 전략을 택한다. 정체성과 관련된 전략은 그들 정체성의 위치에 따라 단둥서 사는 방식과 경제활동 범위가 다르기 때문이다.  

 

  • 물건에는 국경 즉 국적이 표시되어 있지만, 그 물건을 생산 유통하고 소비하는 과정에서 국경은 무의미함을 보여준다. 이처럼 국경 너머에서 만들어진 한국제품은 북한서 묵인이라는 방식으로 유통되거나 원산지를 중국산으로 바꿔서 유통되는데, 물건의 원산지 혹은 생산자가 표기된 라벨을 주목하기보다는 중조무역의 주체와 유통흐름 그리고 한국제품이 북한으로 들어가는 방식에 착목해야 한다. [국경무역의 특징과 편법]

 

 

유의할 만한 문헌

  • Anderson Imagined Communities : reflections on the origins and spread of nationalism

  • Boorstin.D The image : a guide to pseudo-events in america

  • Donnan. Wilson. "An anthropology of frontiers" Hastings Donan and thomas wilson(eds) Border approaches : anthropological perspectives on frontier (1994)

  • Kearney.M <-- Border identities : nation and state at international frontiers

  • Roslado.R Cultures and truth : the remaking of social analysis

  • 남북 경계선의 사회학 (2012)

  • 근대의 국경 역사의 변경

  • 변경에서 바라본 근대

  • 박준규 - 민족과 국민사이 : 금강산 접경지역관광에서 민족경계 넘나들기 -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6

 

(끝)

 

 

1. Ethnic Boundary Making의 요약을 준비중이다.

2. On the border을 가지고 있다.

 

위로가기

  • Facebook Clean
  • Twitter Clean
  • Instagram Clean

© 2023 by CHEFFY. Proudly created with Wix.com

업데이트 구독하기

축하합니다! 사이트가 구독됩니다.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