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문법표로 돌아가기

문법가기

 

66/ 직설법 단순과거 (MP3)

 

단순과거는 과거의 어느 때에 완료한 동작, 나랑 상관없는 과거를 의미하며, 문학 문법이다.

 

1군 규칙동사의 단순과거 어미

ai

as

a

âmes

âtes

èrent

 

2군 규칙동사의 단순과거 어미

is

is

it

îmes

îtes

irent

 

불규칙 동사 ⓐ 어미

is

is

it

îmes

îtes

irent

 

불규칙 동사 ⓑ 어미

us

us

ut

ûmes

ûtes

urent

 

불규칙 동사 ⓒ 어미

ins

ins

int

înmes

întes

inrent

 

불규칙 동사의 어간에는 과거분사를 닮은 것이 많다.

 

(예) parler의 단순과거

je parlai

tu parlas

il parla

nous parlâmes

vous parlâtes

ils parlèrent

 

rougir의 단순과거

je rougis

tu rougis

il rougit

nous rougîmes

vous rougîtes

ils rougirent

 

dire 의 단순과거

dis

dis

dit

dîmes

dîtes

dirent

 

avoir의 단순과거

eus

eus

eut

eûmes

eûtes

eurent

 

être의 단순과거

fus

fus

fut

fûmes

fûtes

furent

 

venir의 단순과거

vins

vins

vint

vînmes

vîntes

vinrent

 

Napoléon naquit en Corse en 1769 et il devint empereur des Français en 1804.

나플레옹은 1769년 코르시카에서 태어나, 1804년 프랑스인의 황제가 되었다. [ naquit : naître] [ devint : devenir]

 

Ils entrèrent dans un café et burent ensemble du vin.

그들은 카페에 함께 들어가 포도주를 함께 마셨다.

 

A six heures. Il se leva et alla vite chez son ami et sonna.

여섯 시. 그는 일어났고 그의 친구 집으로 빨리 가서 띵동했다.

 

Enfin la nuit tomba et les ouvriers retournèrent à la maison.

마침내 밤이 왔고 노동자들은 집으로 돌아갔다.

 

Au milieu de la rue le garçon s'arrêta et se mit à pleurer.

길 한가운데서 소년은 발음 멈추고 울기 시작했다. [arrêta : arrêter 멈추다] [se mit à : se mettre à ~하기 시작하다]

 

67/ 직설법 전과거

 

형태 : 조동사의 단순과거 + 과거분사

 

뜻 : 주로 quand, Aussitôt que, Dès que, A peine (도치) que 가 이끄는 종속절에 쓰이며, 주절의 단순과거가 나타내는 동작 이전에 완료된 행위를 나타낸다.

 

Quand j'eus pris le dîner, je sortis.

저녁식사를 하자마자, 나는 나갔다.

 

Aussitôt qu'il fut arrivé à cet asile, il le fouilla.

그는 자기 은신처에 도착하자마자, 곧 그곳을 뒤졌다.

 

Dès que le soleil se fut levé, il fit jour.

해가 뜨자 곧 날이 밝았다.

 

A peine fut-elle sortie qu'il entra.

그녀가 나가자마자, 곧 그가 들어왔다.

 

  • 단순과거 대신 전과거를 쓰면, 그 동작이 신속히 완료된 사안을 나타낸다.

Le chien eut avalé dans un instant un gros morceau de viande.

그 개는 커다란 고깃덩어리를 순식간에 먹어치웠다.

[이런 경우, En un moment 순식간에 / en un clin d'œil 눈깜짝할 사이에 ; 같은 부사구를 동반한다.]

 

(예문) (#)

Il eut vite fait cela.

Hier soir, dès que j'eus fini mon devoir, j'allai me coucher.

Aussitôt qu'il m'eut vu, il vint à moi.

 

68/ 부정법(동사원형)

 

Que faire ? 어떻게하면 좋을까요 ? (의문)

 

Elle me trahir ! C'est impossible. 그 여자가 나를 배반하다니, 그럴 수가 있나 ! (감정)

 

Ne pas se pencher en defors. 몸을 밖으로 내밀지 마시오. (명령)

 

Vouloir, c'est pouvoir. 원하는 것, 그것은 곧 가능하다는 것이다. (주어와 속사)

 

Il crut entendre des pas. 그는 발소리를 들은 것 같았다.

 

Il hésite à faire une proposition de mariage. 그는 청혼을 주저하고 있다.

 

Il est allé chercher du secours. 그는 구원을 찾으러 갔다.

 

Il est l'heure de partir. 떠날 시간이다.

 

Je suis heureux de vous voir. 당신을 만나서 반갑습니다. (형용사의 한정보어)

 

  • 부정법에는 과거 또는 복합형이라는 것이 있다. 그 형태는 “조동사의 부정법 + 과거분사”로서, 동작의 완료를 의미한다.

  • 따라서 주동사의 동작 이전에 완료된 사실을 표현한다.

(예)

Je crois avoir eu raison. 내가 옳았다고 생각하고 있다.

 

Après avoir fini le travail, il s'est couché. 그는 일을 끝낸 후에, 자리에 들었다.

 

J'espère y être arrivé avant midi. 나는 정오 전에 그곳에 도착되기를 바란다.

 

  • 몇몇 부정법은 관사를 붙여 완전한 명사 (남성 단수)가 된다.

manger → le manger 먹을 것

boire → le boire 마실 것

rire → le rire 웃음

savoir → le savoir 지식

coucher → le coucher 취침

devoir → le devoir 의무

lever → le lever 기상

dîner → le dîner 저녁식사

 

Mentir est une action honteuse.

거짓말 하는 것은 부끄러운 짓이다.

 

Il est l'heure de dîner.

저녁 식사 할 시간이다.

 

Après avoir fini mon devoir, je suis allé en promenade.

숙제를 끝내고 나서 나는 산보하러 나갔다.

 

69/ 조건법 현재 (반과거를 수반한다)

 

조건절은 이렇게 구성된다 : <Si + 반과거, 조건법 현재>. 이때 Si + 반과거가 사용되는 절을 '조건절', 조건법 현재가 사용되는 절을 '주절'이라고 말한다.

 

동사의 반과거화는 배웠으니, 동사를 조건법 현재로 만드는 방법을 배워보자.

 

: 단순미래 어간 + 반과거 어미 = 조건법 현재 !!! [이때, 반과거 어미는, ais, ais, ait, ions, iez, aient이다.]

 

lever 일으키다 [단순미래 어간 lèver + 반과거 어미 = 조건법 현재]

je lèverais

tu lèverais

il lèverait

nous lèverions

vous lèveriez

ils lèveraient

 

jaunir 노랗게 되다 [단순미래 어간 jaunir + 반과거 어미 = 조건법 현재]

je jaunirais

tu jaunirais

il jaunirait

nous jaunirions

vous jauniriez

ils jauniraient

 

avoir 갖다 [단순미래 어간 aur]

j'aurais

tu aurais

il aurait

nous aurions

vous auriez

ils auraient

 

être ~이다 [단순미래 어간 ser]

je serais

tu serais

il serait

nous serions

vous seriez

ils seraient

 

  • 교수에게 질문 후 설명을 추가하려 한다(#).

Si j'avais le temps, j'irais le voir. [irais는 aller의 조건법 현재로, ira가 aller의 미래어간이다.]

시간이 있다면, 그를 만나러 가겠건만(시간이 없어 못 간다).

 

Si j'avais le temps demain, j'irais le voir.

내일 시간이 있으면, 그를 보러 가겠건만(시간이 없어 못 갈 것이다).

 

cf. Si j'ai le temps demain, j'irai le voir.

 

  • 과거에서 본 미래. 주절이 과거이고 종속절이 미래를 나타내는 간접화법. (=> 조건법 현재)

Il m'a dit que son père partirait en voyage.

그는 아버지가 여행을 떠날 것이라고 말했다.

 

Il m'a dit : <mon père partira en voyage.>

그는 말했다 : 내 아버지는 여행을 떠날 것이다.

 

  • 어조를 부드럽게 하기 위해 사용된다.

Je voudrais lire ce roman. 이 소설을 읽었으면 합니다.

Un accident serait en train d'avoir lieu en Chine. 중국에서 사건이 일어나고 있는 것 같다.

 

(예문)

S'il ne pleuvait pas aujourd'hui, je sortirais.

Si demain je réussissais à l'examen, je serais heureux.

 

70/ 조건법 과거 (대과거를 수반한다)

 

조건문 과거의 형태 : <Si + 대과거, 조건법 과거>.

조건법 과거 = 조동사의 조건법 현재 + 과거분사

 

  • 과거 사실에 반대되는 가정 또는 추측을 표시한다.

 

Si j'avais eu le temps, je serais allé le voir.

시간이 있었더라면, 그를 보러 갔을 텐데.

 

  • [ 그가 말했다 – 과거미래 1(★) – 과거미래 2 – 현재 ]

  • 간접화법에서 ★에 해당하는 말에 조건법 과거 시제가 쓰인다.

  • [ 그가 말했다 – serait parti(★) – midi – 현재 ]

 

Il m'a dit que son père serait parti en voyage avant midi.

그는 그의 아버지가 정오 전에 여행을 떠났을거라고 내게 말했다.

Il m'a dit : <mon père sera parti en voyage avant midi.>

그는 내게 말했다 : 내 아버지는 정오 전에는 여행을 떠날 거다.

 

  • 추측의 어조를 부드럽게 하기 위해 조건절을 수반하지 않은 조건법 과거 시제가 사용된다.

La guerre aurait eu lieu au Proche et Moyen-Orient.

중/근동에서 전쟁이 일어난 모양이다.

 

 

  • 접속법 배운 이후 참고할 것

(직설법 대과거) Si j'avais eu le temps, je serais allé le voir.

(접속법 대과거 → 문장체에만 쓰인다) Si j'euse eu le temps, je fusse allé le voir.

Sans toi, il aurait échoué.

 

  • 조건절이 꼭 si를 수반하여야 하는 것은 아니다.

네가 없었더라면 그는 실패했을 것이다. [Sans toi (비슷) without you (비슷) Si tu n'etais pas (비슷) Si tu ne serais pas]

 

(예문)

 

Si on m'avait invité, je serais allé au dîner.

사람들이 나를 초대했었더라면 저녁 식사에 갔을 텐데.

 

Je vous aurais répondu, si j'avais eu le temps.

내가 만약 시간이 있었더라면, 당신에게 회답을 했을텐데.

 

S'il n'avait pas plu hier, je serais sorti.

어제 비가 오지 않았다면, 나는 아마 외출을 했을 텐데.

 

작문문제

1 그는 미국으로 떠났다.

2 그들은 정거장으로 함께 갔다.

3 어제는 비가 많이 왔다.

4 나는 점심을 먹자마자 곧 떠났다.

5 선생님은 쓰는 일을 마치자 내게로 오셨다.

6 편지를 쓰자마자 그는 나갔다.

 

위로가기

 

  • Facebook Clean
  • Twitter Clean
  • Instagram Clean

© 2023 by CHEFFY. Proudly created with Wix.com

업데이트 구독하기

축하합니다! 사이트가 구독됩니다.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