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법표로 돌아가기 / 문법가기
46/ 비인칭동사
비인칭 동사 : 3인칭 단수로 밖에 사용되지 않는 동사 (따라서 동사변화도 3인칭 단수만 외우면 된다)
영어의 it에 해당하는 il을 주어로 한다.
geler얼다
grêler우박이 오다
neiger눈이 오다
pleuvoir비가 오다
tonner천둥 치다
venter바람이 불다
(예) Il pleut depuis hier. (어제부터 비가 내린다.)
-
Falloir ~가 필요하다.
Il faut deux heures pour faire cela. 그것을 하려면 두 시간이 필요하다.
Il faut partir tout de suite. 곧 떠나야만 한다.
-
s'agir(de) ~과 관계되다, ~이 문제이다.
Il s'agit de votre avenir. 당신의 장래에 관한 일입니다.
-
Faire 기후/기상을 나타내는 동사로서 비인칭 동사이다.
Il fait beau (mauvais, chaud, froid). 날씨가 좋다(나쁘다, 덥다, 춥다).
Il fait nuit (jour). 밤이 되다(날이 새다).
-
자동사가 강조되기 위하여 비인칭 동사로 전화되는 수가 있다.
Un accident est arrivé. → Il est arrivé un accident. 사건이 일어났다.
Une femme vient. → Il vient une femme. 한 여자가 온다.
-
il est + 형용사 + de + 부정법
Il est nécessaire de travailler mieux. 좀더 공부하는 것이 필요하다.
(예문)
Il vient une idée. 생각이 하나 떠올랐다.
Il faut travailler mieux. 좀더 일해야만 한다.
En hiver, il neige. 겨울에는 눈이 온다.
47/ 직설법 반과거 (과거에 있어서의 현재)
반과거의 어미는 다음과 같다.
Je - ais
tu - ais
il - ait
N. - ions
V. - iez
ils - aient
(그리고 반과거의 어간은 ons를 뗀 부분이다.)
aimer → nous aimons → aim
finir → nous finissons → finiss
avoir → nous avons → av
être → nous sommes → ét
aimer 의 반과거
aimais
aimais
aimait
aimions
aimiez
aimaient
finir 의 반과거
finissais
finissais
finissait
finissions
finissiez
finissaient
avoir 의 반과거 [반드시 외워둘 것 ! 조동사로 쓰이니까]
j'avais
tu avais
il avait
nous avions
vous aviez
ils avaient
être 의 반과거 [반드시 외워둘 것!]
j'étais
tu étais
il était
nous étions
vous étiez
ils étaient
-
반과거는 그 명칭인 im-parfait이 뜻하는 대로 '미완료의 과거'를 의미한다.
-
그 용법은 복합과거와 구별하여야 한다. 복합과거는 과거의 일시적인 행위, 반과거는 지속적인 행위를 지시한다.
Ce matin, je lisais la lettre. 오늘 아침 나는 그 편지를 읽고 있었다.
Nous allions au musée le dimanche. 일요일이면 우리는 박물과에 가곤했다.
Elle jouait du piano quand je suis revenu. 내가 돌아왔을 때, 그 여자는 피아노를 치고 있었다.
-
간접화법의 종속절에서, 주절의 과거와 같은 때를 표현한다.
Elle a dit que son enfant était malade. 그녀는 자기 아이가 아프다고 말했다.
▶ Elle a dit : « mon enfant est malade. » 그 여자는 말했다 : « 내 아이가 아픕니다. »
Je lisais quand il est entré. 내가 들어왔을 때, 나는 책을 읽고 있었다.
Les rues étaient déjà sombres quand je suis de la maison. 내가 집을 나왔을 때, 거리는 이미 어두워져 있었다.
Je faisais chaque jour une longue promenade. 나는 매일 긴 산보를 하곤 했다.
48/ 직설법 대과거
형태 : 조동사의 직설법 반과거 + 과거분사
Parler '말하다'의 대과거
j'avais parlé
tu avais
il avait
nous avions
vous aviez
ils avaient
Venir '오다'의 대과거 (→ être로 인한 일치 문제 발생)
j'étais venu(e)
tu étais venu(e)
il était venu
nous étions venu(e)s
vous étiez venu(e, s, es)
ils étaient venus
-
어떤 과거보다 앞서 이루어진 동작을 나타낼 때, 그 상대적인 어떤 과거는 복합과거나 단순과거로 표시한다.
Le trains était parti quand je suis arrivé à la gare. 내가 역에 도착했을 때, 기차는 이미 떠나버리고 말았다.
Quand j'avais fini mon devoir, je suis allé au cinéma. 숙제를 끝내고 나서, 나는 영화관에 갔다.
-
과거의 어떤 습관적인 동작 이전에 있었던 다른 습관적인 동작.
Autrefois, quand j'avais fini mon travail, je rendais visite au musée. 전에는 일이 끝나고 나면, 박물관에 가곤 했었다.
-
간접화법의 종속절에서 주어의 과거보다 앞서 있었던 동작/상태를 표시한다.
Elle a dit que son enfant avait été malade. 그녀는 자기 아이가 아팠었다고 말했다.
Elle a dit : <mon enfant a été malade.> 그녀는 말했다 : 내 아이는 병이 났었습니다.
Elle a dit : <mon enfant était malade.> 그녀는 말했다 : 내 아이는 앓고 있었습니다.
cf. 반과거 (간접화법의 종속절에서, 주절의 과거와 같은 때를 표현한다.)
Elle a dit que son enfant était malade. 그녀는 자기 아이가 아프다고 말했다.
▶ Elle a dit : « mon enfant est malade. » 그 여자는 말했다 : « 내 아이가 아픕니다. »
(예문)
J'avais déjà terminé mon travail, quand il est entré. 그가 들어왔을 때, 나는 이미 내 일을 끝마치고 난 뒤였다.
Autrefois, quand j'avais fini mon déjeuner, je faisais une longue pomenade au parc. 전에 나는 점심을 끝내고 나면, 공원을 한참씩 산보하곤 했다.
49/ 보어인칭대명사
직접보어 : 나를, 너를, 그/녀를, 우리를, 너희를, 그/녀들을
간접보어 : 나에게, 너에게, 그/녀에게, 우리에게, 너희에게, 그/녀들에게
1인칭 단수 명사는 직접보어와 간접보어 둘 다 me(m')로 대체(대명사화)된다.
2인칭 단수 명사도 직접보어와 간접보어 둘 다 te(t')로 대체(대명사화)된다.
3인칭 남성 단수 명사는, 직접보어일 때 le(l'), 간접보어일 때 lui이다.
3인칭 여성 단수 명사는, 직접보어일 때 la(l'), 간접보어일 때 lui이다.
1인칭 복수 명사는 직접보어와 간접보어 둘 다 nous로 대체(대명사화)된다.
2인칭 복수 명사도 직접보어와 간접보어 둘 다 vous로 대체(대명사화)된다.
3인칭 남/여 복수 명사는, 직접보어일 때 les, 간접보어일 때 leur이다.
위의 대명사화된 것을 보어 인칭대명사라 한다.
보어 인칭대명사는 (긍정명령문을 제외 -나중에 배울 것- 하고는) 동사 바로 앞에 놓이며, 동사가 복합시제일 때는 조동사 앞에 놓인다.
(예)
Il me voit. 그는 나를 본다.
Je t'aime. 나는 너를 사랑한다.
Vous lui avez donné le prix. 당신은 그/녀에게 상을 주었다.
Elle ne nous répond pas. 그녀는 우리에게 대답하지 않는다.
의문문이나 부정문에서도 동사 바로 앞에 놓는다.
(예)
Me donnez-vous ce livre ? 이 책을 나에게 주십니까 ?
Je ne l'aime pas. 나는 그/녀(혹은 사물인 그것)를 좋아하지 않는다.
Ne le grondez-vous pas ? 당신은 그를 꾸짖지 않습니까 ?
★ 동사가 조동사+과거분사의 형태이고, 직접보어 인칭대명사를 사용할 경우, 과거분사는 반드시 그 직접보어 인칭대명사의 성/수에 일치시켜야 한다. (이것은, 직접보어가 동사 앞에 왔을 때, 과거분사는 그 직접보어의 성/수에 일치한다는 규칙에 의한 것이다.)
(예)
Avez vous acheté ces fleurs ? 당신은 이 꽃들을 사셨습니까 ?
ㅡOui, je les ai achetées. 네, 나는 그것들을 샀습니다.
Voulez-vous me prêter cette revue-là ? 그 잡지를 제게 빌려 주시겠습니까 ?
ㅡJe l'ai perdue. 나는 그것을 잃어 버렸습니다.
긍정명령문의 경우, 보어 인칭대명사는 동사 직후에 놓여 트레디뇽으로 연결된다. 이때 me는 moi로 변형된다.
Aimez-moi. 나를 사랑해 주시오.
Achetons-les. 그것들을 삽시다.
Donnez-lui cette pomme. 이 사과를 그/녀에게 주십시오.
Passez-nous des cuillers. 우리에게 스푼들을 보내주십시오.
부정명령문에서는 원칙대로 동사 직전에 놓는다.
Ne l'attendez pas ici. 그/녀를 여기서 기다리지 마시오.
Ne me dites pas cela. 그런 것을 나에게 말하지 마시오.
★ 보어 인칭대명사끼리 충돌할 때 어느 것을 앞에 세우고 어느 것을 뒤에 세울 것인가 ?
그 순서는 다음에서 설명하는 것과 같다.
ⓐ me, te, nous, vous
ⓑ le, la, les
ⓒ lui, leur
ⓐ + ⓑ 가 결합한다.
ⓑ + ⓒ 가 결합한다.
단, ⓐ + ⓐ, ⓐ + ⓒ 는 결합하지 않는다.
세로로 써 놓고 두 군으로 묶어서 외우면 기억하기 쉽다.
Ma fille vous a-t-elle rendu vos cahiers ? 내 딸이 당신에게 노트를 돌려주었습니까 ?
ㅡOui, elle me les a rendus. 네, 그녀는 내게 그것들을 돌려주었습니다.
Donnez-vous ce livre à Pierre. 당신은 그 책을 피에르에게 줍니까 ?
ㅡNon, je ne le lui donne pas. 아니오, 나는 그것을 그에게 주지 않습니다.
ⓐ + ⓐ, ⓐ + ⓒ 는 결합하지 않는데 이것들은 어떻게 되는가 ?
(예)
Il vous a présenté à moi. 그는 당신을 나에게 소개했다.
Il me vous a présenté. (x)
Je vous présente à elle. 나는 당신을 그 여자에게 소개합니다.
Je vous lui présente. (X)
단, 긍정명령문의 경우, 순서가 다르다. 이는 예문의 한국어역을 외워두면 편하다.
(예)
Passez-le-moi. 그것”을” 내”게” 보내주십시오.
Donnez-les-lui. 그것”들을” 그”에게” 주십시오.
그런데 부정명령문의 경우는 원래 설명한 대로 결합한다.
Ne me le passez pas. 나에게 그것을 보내지 마십시오.
Ne les lui donnez pas. 그것들을 그에게 주지 마십시오.
따라서, 정리해보면 다음 같은 문장 결합이 탄생한다.
주어 + [ne] + ( ⓐ + ⓑ 이거나 ⓑ + ⓒ ) + 동사 + [pas]
주어 + [ne] + ( ⓐ + ⓑ 이거나 ⓑ + ⓒ ) + 조동사 + [pas] + 과거분사
(참고)
-
동사에 따라서는 보어인칭대명사 lui나 leur를 사용하지 않는 것이 있다.
Pensez-vous à votre mère ? 당신은 어머니를 생각하십니까 ? → 이 경우 Je lui pense toujours라고는 말하지 않는다. → 따라서 이렇게 Je pense toujours à elle. 차라리 강세형으로 표현한다.
(참고끝)
50/ 인칭대명사 강세형
강세형은 다음 형태를 취한다.
moi – toi – lui(남) – elle(여) / nous – vous – eux(남자들) – elles(여자들)
남자 강세형만 잘 외워두면 나머지는 익숙한 형태들이다. Lui (남자단수), eux (남자복수).
다른 인칭대명사의 뜻을 강조한다.
(예) Toi, tu penses ainsi, mais moi, je pense autrement.
Je les ai vues, elles.
속사로 쓰인다.
(예) L'état, c'est moi.
전치사 뒤에 쓰인다.
Cette chemise est à vous.
Il est content de nous.
비교급 que 다음에 쓰인다.
부정형용사 même와 함께 '~self(자신)'이란 의미로 쓰인다.
3인칭의 강세형 lui, eux는 직접 주어가 될 수 있다.
(예) Lui déteste le tabac.
관계대명사의 선행사로서 사용된다.
(예) Je t'aime, toi qui as le cœur honnête.
-
예문
-
Moi, j'ai un chapeau, mais toi, tu as une casquette. 나는 한 모자를 가지고 있지만 너, 너는 한 캡을 가지고 있다.
-
Pierre est devant moi. Je suis derrière lui. 피에르는 내 앞에 있다. 나는 그의 뒤에 있다.
-
Je suis chez moi. Il reste chez lui. 나는 내 집에 있다. 그는 그의 집에 계속 있다.
작문문제
1 세시 반이다. (être사용)
2 날씨가 덥다.
3 먹지 않으면 안 된다.
4 내가 집에 도착했을 때, 나의 아저씨는 이미 출발하고 난 뒤였다.
5 나는 아침식사(le petut déjeuner)를 끝내고 나서 학교에 갔다.
6 나는 당신이 Paris에서 보낸 편지를 잘 받았다.
7 나에게 그것들을 주십시오.
8 당신은 그것들을 나에게 줍니다.
9 나에게 그것들을 주지 마십시오.
10 나는 그것을 당신에게 주지 않습니다.
11 그 여자는 내 뒤에 있다.
12 나는 그 여자들에게 만족하고 있다.
13 일을 하는 것은 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