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1/ 정관사의 단축 및 생략
à + le → au
au garçon 소년에게
au médecin 의사에게
à + les → aux
aux garçons 소년들에게
aux médecins 의사들에게
à + la → 축약 안 됨.
À la main 손에
à l'étudiante 여학생에게
à + les → aux
aux mains 두 손에
aux étudiantes 여학생들에게
de + le → du
du malade 남자환자의
de+ les → des
des malades 환자들의
de + la → 축약 안 됨.
De la jambe 다리(육체)의
de + les → des
des jambes 다리들의
à l' , de l' → 여/남 상관없이 축약 안 됨.
à l'école 학교에
de l'ami 친구의
▼
aux écoles 학교들에
des amis 친구들의
(예문)
Le livre est à la main. (책이 손바닥 안에 있다.)
Le malade est à l'hôpital. (환자가 호텔에 있다.)
Les étudiants sont à l'école. (학생들이 학교에 있다.)
12/ 주어 인칭대명사
위에서, 1인칭 단수 je는 모음 또는 무음h로 시작하는 단어 바로 앞에 올 때는 j'가 된다.
여성과 남성 대명사는 성이 결정된 명사를 받을 때 맞추어주어야 한다. (예 : Voici une auto. Elle est rouge. 여기 자동차 한 대가 있다. 그것은 빨간색이다.)
그리고 je와 tu, vous와 nous의 경우, 대명사의 성이 여성이냐 남성이냐, 혹은 남성만으로 구성되어 있느냐 여성만으로 구성되어 있느냐, 남성이 한 명이라도 섞여 있느냐에 따라 être의 속사(일반적으로는 être p.p의 p.p)에 변화가 생긴다. 이 규칙은 지금은 암기할 필요는 없다.
vous는 당신이라는 의미에서, 2인칭 단수로도 쓰인다.
(예문) Vous aimez les sports. (당신은 스포츠를 좋아하십니다.)
Tu aimes la musique (너는 음악을 좋아한다.)
따라서, vous는 남성단수, 여성단수, 남성복수, 여성복수 모두를 받을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변화를 다 가질 수 있다.
Vous êtes grand. (남성단수인 당신은 큽니다.)
Vous êtes grande. (여성단수인 당신은 큽니다.)
Vous êtes grands. (남성복수인 당신들은 큽니다.)
Vous êtes grandes. (여성복수인 당신들은 큽니다.)
-
비인칭 On
On은 막연히 <사람> 또는 <사람들>을 가리킬 때의 주어이다.
On frappe à la porte. (누군가가 문을 노크한다.) [frapper 두드린다 ; 동사들의 변화는 차차로 공부할 것이다.]
그러나 때로 주어가 확실할 때도 je, nous, vous 대신 쓰인다. 주로 회화에서.
On est à la maison. (지금 집에 있소.)
13/ être의 직설법 현재
이것은 불문법 첫시간에 배운 것으로, 아주 기초적이고 토대가 되는 부분이므로 확실히 암기해두어야 하는데, 워낙 자주 쓰이므로 간단히 익혀만 두면 자꾸 나와서 그냥 외워지는 효과를 볼 수 있다.
Be 동사처럼 <존재한다, 있다>의 뜻을 가진 자동사로서, 이 표현으로 할 수 있는 말이 많고, 또한 조동사로서 be p.p (복합과거와 수동태 ; 이 둘의 구별은 나중에 설명하도록 하겠다) 같은 것이 있으므로 사용빈도가 매우 높다.
je suis
tu es
il est
elle est
nous sommes (누좀이 아니라 누솜이다. 많이 틀리더라)
vous êtes (연음에 주의)
ils sont (일종이 아니라 일송이다. avoir의 ils ont은 일종으로 읽기에 처음엔 발음이 헷갈릴 수 있다.)
elles sont
(예문)
-
Il est à l'école. (그는 학교에 있다.)
-
Ils sont dans le salon. (그들은 응접실에 있다.)
-
Elles sont à la maison. (그 여자들은 집에 있다.)
-
Nous sommes Coréens. (우리는 한국인이다.)
-
Vous êtes professeur. (당신은 선생닙이십니다.)
-
Tu es sage. (너는 현명하다.)
-
Elle est mignonne. (그 여자애는 귀엽다.)
-
Il est parti en voyage. (그는 여행에 떠났다. : 일반적인 과거 표현에 해당하는 복합과거 ; 나중에 다룰 것)
-
Je me suis levé de bon matin. (나는 아침 일찍 일어났다. : 대명동사 ; 후반부에 나올 것)
-
Pierre est aimé de tout le monde. (피에르는 모든 사람들에게서 사랑받는다. : 수동태 ; 나중에 다룰 것)
-
Voici un élève. Il est Français. (여기 한 학생이 있다. 그는 프랑스인이다.)
-
Voilà des hommes. Ils sont dans le jardin. (저기 사람들이 있다. 그들은 정원 안에 있다.)
-
Je suis un garçon et tu es une fille. (나는 소년이고 너는 소녀다.)
14/ 부분관사
남성단수형 du 는 남성 단수명사에 사용한다. 명사가 모음이나 무음 h로 시작할 때에는 de l'로 된다. (결국 나중에도 잘 살펴보면 축약되는 건 모두 남성이 들어간 관사들이다.)
여성단수형 de la는 여성 단수명사에 사용한다. 명사가 모음이나 무음 h로 시작할 때에는 de l'로 된다.
여기서 앞서 배운 du = de + le와 혼동하면 안 된다. 그 du는 '~의'로 해석된다.
여기서의 부분관사는 un, une과 같은 부정관사가 <하나>의 뜻을 가지고 있음에 반하여, 셀 수 없는 명사 앞에서 <약간의>라는 뜻을 포함한다. 즉, 수가 문제되지 않고 양이 문제되는 경우에 이것(du, de la, de l')을 사용한다.
Je bois du vin. (나는 (약간의) 포도주를 마신다.)
추상명사에서도 아래와 같이 양적 표현을 나타낼 수 있다.
Il a du courage et de la patience. (그는 용기와 인내력이 있다.)
부분관사는 셀 수 없는 것을 나타내므로 복수형은 없다. 그러므로 복수형이란 곧 부정관사의 복수형이 된다.
부분관사는 정관사 le, la의 앞에 de가 사용된 것으로서, 이 de는 본래 <~에서> <~의 일부분>을 의미하므로, 부분을 나타내는 de라고도 한다. 따라서 이 '부분의 de'는 le, la가 아니라 지시형용사(ce, cet : 이 oo)나 소유형용사 (mon, ma : 나의)와 함께 쓰이는 경우가 있다.
Je bois ce vin. 나는 이 포도주를 마신다.
Je bois de ce vin. 나는 이 포도주를 약간 마신다.
그런데, 양이 문제가 아니라 '내용의 표현이 문제'일 경우, 또는 '다른 것의 그것으로 한정'되어 있을 경우에는 le, la, les가 사용된다.
J'aime le vin. 나는 포도주를 좋아한다. (포도주 약간의 가 아니라 포도주 자체를)
L'eau de la Seine est limpide. 쎈강의 물은 맑다. (다른 강이 아니라 쎈강의 '물')
15/ avoir의 직설법 현재
이것도 역시 조동사로서 복합과거를 만들 수 있다. 앞에서 être가 be p.p형태로 과거시제를 만든다 했는데, être p.p가 과거가 되는 동사들이 아주 적게 있고, 대부분의 동사는 avoir p.p를 과거 표현으로 하게 된다. 또한 avoir/être의 직설법 현재말고 동사변화표에 찾아보면 있는 다른 변화들도 p.p와 결합한 조동사로서 요긴하게 쓰이므로, avoir/être와는 친하게 지내야 한다. 단 이 페이지에서는 모든 시제를 한꺼번에 설명하는 걸 목표로 하지 않겠다.
J'ai (즤에)
tu as (뛰아)
il a
elle a
nous avons (누자봉)
vous avez (부자베)
ils ont (일종)
elles ont (엘종)
이 avoir는 영어의 have에 상당한다. 영어에서는 have p.p가 현재완료지만 불어에서는 그냥 과거이다.
Elle a rencontré François. 그는 프랑소아를 만났다.
Il a neigé hier. 어제 눈이 왔다.
avoir가 ~을 갖는다는 뜻으로, 직접목적보어를 가지면서 그냥 일반 타동사처럼 쓰일 때도 있다.
-
J'ai un dictionnaire. 나는 사전을 가지고 있다.
-
Il a de la chance. 그는 운이 좀 있다.
-
L'homme a deux jambes. 사람은 두 다리를 가진다.
Il y a 라는 관용구를 이룬다. 이것은 <~이 있다>라는 뜻이며, il y a 자체는 뒤에 뭐가 오든 변하지 않는다.
Il y a des pommes dans l'assiette. 접시 안에 사과들이 있다.
Il y a du pain dans le panier. 바구니 속에 빵이 좀 있다.
작문문제
1 우리는 학교에 있다.
2 그 여자는 작다.
3 당신은 집에 계십니다.
4 3시입니다. (Il est trois heures.)
5 그 여자는 객실 안에 있다.
6 여러분들은 학생입니다.
7 그 남자는 한국인이고, 그 여자는 프랑스인입니다.
8 나는 펜들을 가졌고, 너는 만년필들을 가졌다.
9 사람은 두 손과 두 팔을 가졌다.
10 바구니 안에 꽃과 과일들이 있다.

